뉴스 및 공지사항 News
구혁채 과기부 1차관, 'R&D 촉매' 연구산업 현장서 발전방향 논의
2025-08-21
피지컬 AI 기반 자동화 솔루션 개발 토트 등 간담회 참석
과기정통부, 연구산업 생태계 조성 위한 현장 소통 강화
연구산업기업 매칭 통해 R&D 성과 창출 체계 필요 논의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21일 경기도 하남시 토트를 방문해 연구산업 현장을 격려했다. 이번 방문은 다양한 과학기술인과 소통하는 '프로젝트 공감118'의 세 번째 현장 행보다. 구 1차관은 연구산업 기업 및 연구자들과 간담회를 통해 현장 목소리를 들으며 연구산업 진흥 방향을 논의했다.
연구산업은 R&D 전 과정에서 연구 활동을 지원하며 연구성과와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R&D 연동산업이다. 과기정통부는 관련 법령에 따른 요건을 갖춘 기업을 전문연구사업자로 등록·관리하고 있다. 현재 2735개 기업이 전문연구사업자로 등록돼 있다. 시험·검사·분석, 설계·해석, SW·솔루션 개발, 시작품·시제품 제작, 기술이전·거래 지원 등이 주요 업무다.
구 차관이 방문한 토트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상형 수석연구원이 2021년 창업한 기업으로, AI·로보틱스·물리 시뮬레이션을 결합한 Physical AI 기반 공정 자동화 원스톱 솔루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여러 산업에 적용 가능한 모듈형 자동화 로봇
을 개발·제공하는 연구개발서비스 기업이다. 2023년 전문연구사업자로 등록했으며 CES 2024, 2025년 연속으로 전기차 폐배터리
해체로봇
'디스멘틀봇'으로 혁신상을 수상했다.
이상형 토트 대표는 "현재 다양한 산학연을 고객으로 하여, 그들이 요구하는 분야의 자동화 시스템을 맞춤형으로 개발·공급 중"이라며 "생기원에서 축적한 피지컬 AI 기술을 바탕으로 고정밀·고난이도의 맞춤형 솔루션을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며 하여 산업혁신에 기여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간담회에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개발서비스 전문기업과 관계전문가가 참여했다. 연세대 교원 창업기업 젬크로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유전자변형마우스
를 공급하며 국내 전임상 연구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창업기업 다겸은 대기업 반도체 생산라인 규모 전체를 관제 가능한 쿠버네티스 기반 초미세공정 예지보전 AI카메라
를 개발한다.
충남대 기술출자 기반 알티큐어는 유전자의약기반 면역항암치료제를 개발한다. 표준연 연구소기업 퓨리센스(대표 문희정)는 반도체 습식공정용 화학물질 농도 정밀측정 기술을 개발한다. GIST 기술이전을 바탕으로 창업한 이노셉은 이식·부착용 인공신장기를 개발하고 있다. 참석자들은 현장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연구산업 활성화를 위한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연구산업은 연구자의 연구 몰입도와 연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는 R&D의 촉매제"라며 "R&D의 전략성·혁신성이 강조될수록 연구산업의 전문성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는 만큼, 전문연구사업자의 역량을 제고하고 R&D연구자와 R&D서비스기업이 보다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서로 상생하며 발전하는 연구생태계를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https://www.digitaltoday.co.kr)